본문 바로가기

리뷰 및 사용기

블랙박스 상시전원 케이블 설치방법!

블랙박스 상시전원 케이블 설치방법 입니다. 블랙박스 상시전원 설치방법 어렵지 않더라고요. 아이로드 ipro35 블랙박스 출장방문 장착서비스로 설치하면서 모르는 부분은 설치해주시는 분에게 물어보고 유심히 지켜봤는데요. 그 후에 다른 차에 설치할 때 그대로 했더니 이상 없이 잘 동작합니다. 혹시 몰라서 장착서비스점에 가서 확인해보니 맞게 설치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상시전원 케이블 설치하는 방법 간략하게 정리해보았는데요. 제가 아이로드 제품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관계로 아이로드 블랙박스 상시전원 케이블을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단 블랙박스와 함께 상시전원 케이블도 같이 구입하셔야합니다. 상시전원 케이블은 사용하는 블랙박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블랙박스 구입한곳에서 상시전원케이블도 구입해야합니다. 제조사에 따라 전압이나 아답터잭 크기 등이 다릅니다. 저는 아이로드 제품 구입하여 상시전원 케이블도 아이로드 걸로 구입했습니다.

 

 

 

박스 안에는 블랙박스 상시전원 안전장치 제품 설명서와 상시전원 어댑터 케이블이 있습니다. 딱2개만 들어있는데요. 제품설명서는 필독입니다. 귀찮다고 안 읽어보시면 안 돼요. 상시전원 케이블 사용시간 맞추는 법이 자세히 나와 있거든요.

 

 

 

아이로드 상시전원 케이블 국내용은 IF-340T라는 모델로 홈페이지에 보면 국산차용 수입차용 이렇게2가지가있습니다. 본인차가 수입차면 수입차용, 국산차면 국산차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상시전원 안전장치 제품 설명서에는 위와 같이 상시전원 케이블 작동 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상시전원 케이블은 자동차의 배터리전압이 내려가 배터리방전의 위험이 있을 때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해주어 배터리방전을 방지해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시간 조정이 중요한데요. 아이로드 블랙박스 상시전원장치는 사용시간보다도 전압에 따라 우선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시간을 높게 해도 배터리 전압이 내려가면 설정된 시간에 상관없이 자동차단해주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상시전원 케이블 어댑터 부분에 보면 1,2,3,4,5 이렇게 5개가 있습니다. 1번과 2번은 시간 세팅방법이고 3번, 4번, 5번은 전압 세팅방법입니다.

 

저는 시간세팅을 12시간으로 설정하고 전압세팅은 승용차 RV: 12.4v, 화물차 24.8V로 설정했습니다. 보통 저녁에 주차해놓고 아침에 출근하기 때문에 12시간이 적당하더라고요. 전압 세팅은 조금 더 낮게 할 수 있었으나 혹시 몰라서 그냥 가장 높게 했습니다. 사실 여름은 몰라도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 차 전체의 배터리 소모가 많아져서 블랙박스로 인해 배터리 방전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과 여름 세팅 값을 다르게 해주셔야 배터리 방전되는 경우가 줄어듭니다. 블랙박스 상시전원장치를 차에 설치하기 전에 메뉴얼을 보고 시간을 위와 같이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자동차 퓨즈 단자로 블랙박스 상시전원 케이블 설치하기에 있어 가장중요한 부분입니다. 보통 자동차 종류에 따라 퓨즈 위치가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설명해 드리는거와 똑같이 하시면 안 되고 차에 나와 있는 퓨즈 표를 보고 하셔야합니다.

 

 

 

제차의 퓨즈 단자입니다. 바로위에 있는 퓨즈 사진과 다르죠? 차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퓨즈단자를 열면 단자뚜껑이나 그 안에 퓨즈 표가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나와 있는 퓨즈표인데요. 물론 차에 따라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퓨즈 표를 잘 읽어 보셔야 합니다. 블랙박스 상시전원 케이블은 빨강색 ACC단자, 노란색 B+선, 블랙 GNC선 이렇게 3가지 선이 있습니다. 이중 노란색 B+선을 상시전원 퓨즈에 연결하면 되는데요. 퓨즈 표에 보면 정지등, 방향지시등, 전동시트처럼 시동키를 차에서 완전히 빼도 전원이 들어오는 단자에 연결합니다. 그래야 시동이 꺼진 후에도 전압이 떨어질 때 까지 블랙박스가 동작합니다. 그다음 빨간색 ACC단자를 오디오, 시가라이터, 에어컨 등 시동을 걸거나 시동키가 ACC에 있을 경우 전원이 들어오는 단자에 연결합니다.

 

 

 

마지막으로 검정 GND선을 위 사진처럼 차체의 너트부분에 연결하면 됩니다. 빨강선, 노란선, 검정선을 위에처럼 퓨즈단자에 연결하면 상시전원 케이블 연결은 다된 겁니다. 퓨즈 단자부분만 이해하면 설치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이렇게 연결하고 나서 제대로 동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시동키를 ACC위치까지 돌리거나 시동을 걸면 되는데요. ACC위치로 돌리거나 시동을 걸면 LED불이 들어오고 블랙박스 전원이 켜집니다. 이러면 제대로 설치된 겁니다. 그 후 시동을 끄면 블랙박스의 LED불이 깜박이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자동차 배터리전압이 내려가거나 세팅해놓은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블랙박스가 꺼집니다.

 

만약에 퓨즈 연결 후 시동을 걸기도전에 블랙박스가 켜지면 연결이 잘못된 거니까 퓨즈 표를 보시고 다시 연결하셔야합니다. 물론 퓨즈 연결 시에는 반드시 시동은 꺼져 있어야 합니다.

주의: 자동차에 따라 퓨즈 단자 위치 및 종류가 다르니 본인의 자동차 퓨즈 표를 보고 하시기 바랍니다.

 

 

 

상시전원 장치 연결했다면 이제 선만 정리해주면 됩니다. 차 테두리 부분에 안보이게 숨겨주세요. 차에 따라서 전선 정리할 수 있도록 차체 테두리 플라스틱 부분 등이 쉽게 빠지기도 합니다. 힘으로 잡아당기면 접촉부위가 부러질 수도 있으니 조심히 하셔야합니다. 선정리만 하면 블랙박스 상시전원 케이블 설치 정말로 끝입니다. 한번 해보면 어렵지 않은데요.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하기에는 퓨즈부분 때문에 다소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장착하기 어렵다고 생각 되시는 분들은 직접하지마시고 장착서비스를 받으세요. 위에 설명은 아이로드 제품으로 해드렸지만 다른 제조사도 방법은 동일합니다.

 

참고로 블랙박스 장착서비스는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르며 블랙박스 장착서비스 비용도 따로 내야합니다. 1채널과 2채널 비용도 다릅니다. 제조사에 따라 대리점에 직접 찾아가야지만 장착서비스 받을 수 있는 제조사가 있는 반면 국내어디든 출장방문 장착서비스가 가능한 제조사도 있습니다. 제가 구입한 아이로드는 출장방문 장착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어서 번거롭게 사용자가 설치할 필요 없이 출장방문 장착서비스로 집 앞에서 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비용은 따로 지불해야하지만 아이나비에 비하여 2채널 모델이 조금 더 저렴한 편으로 크게 부담되지는 않았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모델이 6개월 전에 장착한 아이나비 블랙 클레어2라 2채널로 바꾸면서 그대로 아이나비 제품을 사용하려했는데 장착서비스도 대리점에 찾아가야 받을 수 있고 비용도 2채널이라서 6만원이나 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재부팅 되는 현상도 많고 그래서 이참에 다른 모델 찾다가 가격에 비해 성능비 높은 아이로드 ipro35로 구입하여 아직까지는 만족스럽게 사용 중입니다. 아이로드는 모델에 따라서 무료로 출장방문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으니 블랙박스 구입 전에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